반응형
docker run은 docker pull -> create -> start를 한 번에 처리하는 명령어다
로컬에 이미지가 없으면 pull 한 후, 있으면 그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만들고 실행한다.
컨테이너를 만들때 여러 옵션을 주어 지정할 수 있는데, 자주쓰는 옵션들을 정리해봤다
--gpus all, "device=0" | 컨테이너에 gpu 자원 할당 | ||
-- name ContainerName | 컨테이너 이름 지정 | ||
-it | i옵션은 표준입출력 STDIN, t옵션을 가상 tty를 통해 접속 | ||
-p hostport:containerport | 포트포워딩, 8080:80으로 지정하면 호스트 8080포트로 들어오면 컨테이너 80포트로 연결 | ||
-v hostDir:containerDir | 볼륨마운트, 지정한 호스트 디렉토리 위치를 컨테이너 디렉토리에 연결. DB컨테이너에서 정보를 저장하거나, 딥러닝 레포, 데이터 폴더를 연결할 때 많이 사용 |
||
-d | 컨테이너 백그라운드 실행 | ||
--restart no, always | 도커데몬 재시작시 컨테이너 실행 정책 | ||
--rm | 컨테이너에서 나가면 컨테이너 삭제 | ||
-e PASSWD=qwerty | 환경변수 설정 |
사용 예시
docker run --gpus all --name TensorRT -it -p 8888:8888 \
-v /storage:/storage nvcr.io/nvidia/tensorrt:22.01-py3
docker run --gpus all --rm -it \
-v $(pwd):/usr/src/app/FastMOT -v /tmp/.X11-unix:/tmp/.X11-unix \
-e DISPLAY=unix$DISPLAY -e TZ=$(cat /etc/timezone) fastmot:latest
반응형
'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 이미지가 저장되는 위치 바꾸기: root datadir 변경 (0) | 2023.02.17 |
---|---|
도커 permission denied, sudo 권한 없이 사용하기 (0) | 2023.02.14 |
Ubuntu 20.04 LTS docker 설치 (0) | 2023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