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기본적으로 우분투에 도커를 설치하면 기본 설정 경로는 '/var/lib/docker'이다.
# 저장위치 확인
docker info | grep "Root Dir"
루트위치에 저장이 되는데 우분투 설치시 디스크 파티션을 나눴고, root 파일시스템 파티션을 보통을 10~20 GB로 주면 충분하다하지만 도커 이미지가 저장되는 걸 고려해서 루트 디스크를 100GB로 나누었는데도 nvidia-docker image나 딥러닝 환경 도커이미지가 기본적으로 10GB가 넘어가다보니, 이미지를 pull할 때마다 저장용량 부족 에러가 떠서 위치를 바꾸어 주어야 했다.
도커 데몬 중지
systemctl stop docker.service
Data Root 변경하기
nano /etc/docker/daemon.json
vi 에디터로 해도 되지만 나는 nano가 편하다. 근데 거의 모든 에디터 디폴트가 vi라 vi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어보이긴한다.
쨌든 위의 명령어로 daemon 파일을 작성해준다.
주의할 점은 /etc/docker 디렉토리가 존재해야한다.
확인해보고 없으면 생성해준다.
- 디렉토리 이동 : cd
- 디렉토리 생성 : mkdir
daemon.json
1. 아무 내용이 없으면, 내용 생성
{
"data-root" : "/data/docker/"
}
2. 기존내용이 있으면, 추가로 작성
{
"runtimes": {
"nvidia": {
"path": "nvidia-container-runtime",
"runtimeArgs": []
}
},
"data-root": "/data/docker/"
}
이렇게 daemon.json파일을 구성하고 저장해준다.
도커 재시작
systemctl start docker.service
도커를 재시작해준다.
systemctl status docker.service
실행상태를 확인한다
에러없이 잘 동작하고 있으면 성공!
맨 처음 Root Dir 위치를 확인했던 방법으로 다시 확인했을때, 변경사항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반응형
'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run 옵션 정리 (0) | 2023.02.17 |
---|---|
도커 permission denied, sudo 권한 없이 사용하기 (0) | 2023.02.14 |
Ubuntu 20.04 LTS docker 설치 (0) | 2023.02.13 |